지난해 12월 4일 손님이 저장(浙江)성 후저우(湖州)시의 한 금은방에서 금 장신구를 살펴보고 있다. (사진/신화통신)
[신화망 상하이 3월14일] 최근 금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금 선물·현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. 비이자 자산인 금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이며 ‘금 열풍’은 얼마나 더 지속될까?
◇중국 국내외 금 시장 동반 상승
”지난해 금 가격 상승세에 이어 시장에서는 올해도 중반 즈음 최고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대부분 예상하고 있습니다.” 청웨이(程偉) 금 시장 분석가의 말이다.
全球排名第一오피스타 3월 들어 뉴욕상품거래소의 금 선물은 한때 온스당 2천200달러를 넘었다. 12일 장중에도 여전히 온스당 2천190달러 선을 유지하며 10거래일도 되지 않아 누적 상승률이 6%를 초과했다. 위안화 표시 금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. 상하이금거래소에서 금 현물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AU99.99, 상하이선물거래소 금 선물 본계약 모두 g당 약 508위안(약 9만2천456원)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시장 상승률 모두 5%를 상회했다.
귀금속 매장의 순금 액세서리 가격은 평균 g당 650위안(11만8천300원) 이상이다. 골드바 가격도 g당 520위안(9만4천640원)을 넘는다.
소비와 투자 열기로 금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.
장웨이둥(蔣偉棟) 라오펑샹(老鳳祥) 예원(豫園)점 매니저는 올 1~2월 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50% 증가했다고 소개했다. 그는 “춘절(春節·음력설) 등 연휴로 인해 수요가 증가한 것도 있지만 소비자 투자 증가도 한몫했다”고 말했다.
◇금값 강세의 이유
연초에 금값이 강세를 보인 이유는 무엇일까?
”올해 금 시장에서 지난해 초의 시장 상황이 재현되고 있는 듯합니다.”
청웨이는 지난해 초에는 달러 평가절하와 실리콘밸리은행(SVB)세계랭킹1위오피스타 파산 등 리스크가 금값 상승의 주된 요인이었으며 최근에는 유럽·미국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와 계속되는 지정학적 정치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.세계 랭킹 1 위오피스타 홈페이지
루웨이자(陸偉佳) 헤레우스 중국지역 거래 총감은 “최근 금값의 상승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(FRB)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물 소비에 대한 강한 수요로 인해 금 자산이 다른 자산을 능가하는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”이라고 말했다.지난 11일 귀금속 매장에서 금제품을 고르는 소비자. (사진/신화통신)
◇몰리는 ‘금 투자’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세계 랭킹 1 위오피스타 공식 입구의 방법은 어디입니까?
금 시장이 급격히 상승할 때마다 중국 시장에는 항상 수많은 사람이 몰려들었고 이번도 예외는 아니다.
많은 젊은 소비자가 샤오훙수(小紅書)·웨이보(微博) 등 소셜미디어(SNS) 플랫폼에 자신의 선택·매칭·구매 결과를 공유면서 더 많은 젊은 구매자와 투자자가 생겼다. 2000년대 출생자인 한 소비자는 “온라인에 옥과 보석 등 액세서리와 완벽하게 매칭하는 법을 포함한 고대 금공예 기법이 공유되고 있다”면서 “이제 금제품은 부를 상징하는 두꺼운 ‘금목걸이’의 이미지가 아니다”고 설명했다. 지난 11일 상하이골드앤주얼리업종협회가 정리한 상하이 주요 금은방의 금제품 가격. (사진/신화통신)
또 다른 소비자는 “금은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이 크지만 이자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낮은 가격에 사고 높은 가격에 팔아야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”고 말했다.
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금 시장의 급격한 상승으로 투자자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미 높게 형성된 시세로 인한 리스크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. 그러면서 “일단 시장 전망이 회복되면 금값이 빠르게 반락할 수 있다”고 강조했다.
실제로 금값이 크게 오르면서 일부 초기 단계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매입한 투자자들도 고점에서 ‘현금화’ 매도를 택하고 있다. 장 매니저는 “최근 금값이 일부 소비자의 심리적 기대치에 도달함에 따라 골드바를 환매하기 위해 매장을 찾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”고 전했다.
원문 출처:신화통신 한국어 뉴스 서비스